보통 맛집을 찾을 때, 네이버에서 맛집이라고 검색을 합니다. 그리고 방문을 해보면 실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맛집을 선택하는 것은 여행을 가거나 데이트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실수하지 않는 최상의 방법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직장인이라면 주말 외에는 맛있는 음식점을 방문할 수 있는 기회가 적기 때문입니다. 많지 않은 기회를 행복한 순간으로 만들기 위해서 오늘 꿀팁은 필독사항입니다.  

 

맛집 찾기 핵심 요소

1. 리뷰 & 평점

2. 방문 데이터

 

SNS를 통해서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업들은 많은 빅데이터를 쌓았습니다. 사람들의 성향과 패턴을 분석해서 향후 미래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맛집을 찾는 우리도 이 흐름에 맞춰가야 합니다. 다만, 정확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구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지역 맛집 찾는 방법

1. 맛집 어플 후기 활용하기

2. 구글 지도 리뷰 활용하기

3. 내비게이션 앱 방문 데이터 이용하기

4. 공무원이 자주 찾는 맛집 알아보기

 

맛집 어플 후기 활용하기

1. 맛집지도

2. 다이닝 코드

3. 망고 플레이트

 

식신로드, 수요 미식회 등 TV 프로그램을 통해서 알려진 맛집들도 상당히 존재합니다. 이런 것들을 한 곳에 모아놓은 어플이 바로 맛집지도인데요. 블로그나 리뷰를 통해서 맛집을 감별해낼 수도 있지만, 신뢰성이 높은 TV라는 매체에서 유명한 연예인들이 직접 소개를 하는 것만큼 정확한 정보는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TV에서 맛없는데 맛있다고 거짓말했다가는 난리가 나거든요.

  • 맛집 추천어플의 가장 큰 장점은 앞서 언급한 대로 거짓말을 못하는 겁니다. 어플 생태계를 아셔야 되는데요. 결국 어플을 개발한 사람도 내가 만든 어플이 진실되어야 이용자도 많아지고, 그만큼 자신도 돈을 벌게 되는 것입니다. 어플을 운영하면서 최대한 객관적인 빅데이터를 수집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다이닝 코드 같은 경우에는 전문 미식가를 양성하기도 하고, 후기를 등록하면 네이버 페이로 보상을 해주는 앱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 지도 리뷰 활용하기

구글이 어떤 기업입니까. 객관적이면서 냉철한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비록 많은 사람들이 구글 지도를 통해서 리뷰를 남기고, 점수를 매기지는 않지만 구글 이용자라면 단순히 홍보용이 아닌 진짜 리뷰라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홍보가 난무하는 네이버와는 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비게이션 앱 방문 데이터 이용하기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내비게이션 앱은 바로 SKT의 T맵입니다. 5년 동안 쌓인 고객들의 음식점 방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맛집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카카오 T 내비 또한 후발주자로써 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맛집을 추천해주고 있습니다. 직접 방문한 데이터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 후기를 통한 데이터는 직접 방문한 데이터를 이길 수 없습니다. 하물며, 재방문율이 높다는 데이터가 축적이 된다면 그만큼 확실한 것도 없겠죠. 과거에는 어떤 음식점에 단골손님이 많다는 것을 그 주변에 사는 사람만이 어렴풋이 알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내비게이션 앱의 방문 데이터를 이용한다면 서울 사람이 부산 음식점의 단골손님이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있는 겁니다. 

 

공무원이 자주 찾는 맛집 알아보기

커뮤니티 게시글에 발상의 전환으로 맛집을 찾는 신박한 방법을 게재한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공무원들이 주로 방문하는 음식점이 곧 맛집이고, 이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관공서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업무추진비 사용내역을 열어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의 핵심은 3가지입니다.

  • 누구나 열어볼 수 있다
  • 김영란법으로 가격이 저렴하다
  • 공무원들은 맛집을 잘 안다

 

마치며

본 포스팅에서 배제시킨 플랫폼은 네이버, 인스타그램, 배달의 민족 총 3가지입니다. 왜냐하면 많은 사용자를 거느리고 있지만, 무분별한 홍보성으로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배달의 민족의 경우, 별점 테러로 리뷰 시스템의 문제가 전 국민들에게 공개가 되었습니다. 해당 플랫폼들도 이 부분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어떻게 대응할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